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개인의 신용 평가 요소의 3가지 확인해 보자

by 하키라 2025. 4. 2.

개인신용평가요소

 

각 개인에 대한 신용관리등급에 있어서 어떠한 방식으로 평가를 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계시는 것 같은데요. 각 개인에 대한 신용평가는 3가지 정도의 카테고리에서 세분화해 평가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확히 어떠한 것들로 평가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각 요소들에 대해 한 번 확인해 보죠.

 

 

1. 개인신용평가 요소

 

 - 신용관리회사에서는 소비자들을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현재 우리나라의 20~40대의 60%는 신용대출을 경험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때의 대출한도와 이자율의 기준이 바로 자신들의 신용등급이라고 합니다.

 

 - 이처럼 신용등급을 올리는 일 또한 확실한 재테크이므로 적극적인 신용관리가 필요하다 할 것입니다. 그럼 개인의 신용평가를 하는 요소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 보죠.

개인돈

① 신용행동

 

 - 신용행동이란, 대출이나 신용카드의 부채를 빌리고 갚는 신용거래이력 말하는 것으로 상환이력정보, 현재부채 수준, 신용거래기간, 신용거래형태 등 4 부분으로 구분해서 각 개인별 신용등급을 평가한다고 합니다.

  • 상환이력정보 : 28%
  • 현재부채 수준 : 26%
  • 신용거래형태 : 32%
  • 신용거래기간 : 14%

신용행동

② 신용여력

 

 - 두 번째는 각 개인의 신용여력으로 입증된 소득에서 지출 수준을 고려하여 미래의 가처분 소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가처분 소득이라 함은 개인소득 중 소비와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 즉 개인소비 + 개인저축을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신용여력

③ 신용성향

 

 - 마지막으로 신용성향은 각 소비자 개인의 신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하는 정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즉, 자신의 연체에 대한 미진한 부분과 같은 것을 어떻게 해결하려고 하는지 등에 대한 정도를 확인해서 신용등급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신용성향

2. 마치며 

 

이상으로 개인에 대한 신용평가를 하는 평가요소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큰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확인해 보았는데요. 결국은 위의 3가지 중 개인적으로는 신용행동이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신용행동에 대한 관리를 항상 철저히 하는 습관이 자신의 등급관리에 결국은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하게 되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