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나 경기가 하향곡선을 그리는 요즘에 자신의 신용상태를 잘 관리해 줘야 위급한 상황이 닥쳤을 때에도 금전적인 면에서 자신과 가족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신용전문가가 알려주는 2025년 신용점수 관련 핵심 이슈에 대해 알려드려 보려 하는데 참고들 하시기 바랍니다.
1. 금융사들의 대출심사 기준 강화
- 올해도 역시 정부에서는 말로는 대출 완화에 신경을 쓰고 있는 것 같이 얘기하지만, 현실은 대출규제 강화 쪽으로 힘이 실린다고 합니다. 해서 금융사들이 대출 심사기준을 더욱 엄격하게 운영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네요.
- 우선은 DSR(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규제 강화 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연소득 대비 50%까지 대출이 가능했지만, 고소득자가 아닌 경우 더 낮은 기준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 즉, 말하자면 고소득자에게는 대출이 그나마 확대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저소득자는 대출이 축소가 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신용점수 하위 30% 이하 (신용점수 850점 이하)의 대출 승인율이 대폭 감소할 것이라 예상
※ 대응 방안
- 대출이 필요한 경우 여러 금융사의 조건을 비교, 서민금융진흥원 등의 저금리 정책상품을 적극 활용
- 신용대출보다는 담보대출 중심으로 접근하면 대출이 쉬워질 수 있음. 전문가 조언이 현실적으로 잘 될지는 모르겠네요.
2. 청년층 신용평가 가점제도 도입
- 정부에서 청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신용점수 가점 제도를 확대한다고 합니다.
- 청년도약계좌 유지 시 신용점수 가산점 부여 => 2년 이상 유지 및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5 ~ 10점 추가
- 금융 이력 부족자를 위한 신용평가 개선 => 기존에는 금융거래 내역이 부족한 청년층이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2025년부터는 통신비, 공공요금 납부내역 등을 신용평가에 반영된다네요.
※ 청년들의 대처
- 청년도약계좌 또는 신용카드 실적을 꾸준히 쌓아 금융 이력을 만들어야 함.
- 통신비, 공공요금 납부내역을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제도를 적극 활용
3.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의무화 및 신용점수 영향 확대
- 전세 관련 보증금 문제로 올해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이 더욱 강화된다고 합니다.
- 해서, 전세대출을 받을 때 보증보험 가입이 사실상 필수로 변경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며, 전세대출 연체 및 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발생하면 신용점수 하락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합니다.
※ 대처 방안
- 계약 전 등기부등본 확인 및 보증보험 가입 필수
- 전세 대출이 필요한 경우 보증보험 적용이 가능한 주택 선택
4. 마치며
이상으로 2025년 신용 전문가가 말하는 신용점수 관련 핵심 이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전문가들은 평가기준이 더욱 정교해지고, 금융사들의 대출 심사도 까다로워질 전망이라고 하면서 이에 따라 신용점수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원활한 금융생활을 유지하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대처방안이라고 하는 것 역시도 금전적인 안정이 있는 등급에서나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이 들게 되는 것 같네요. 결론적으로는 하위등급을 유지하시는 분들은 각 개인이 자신의 상황에 맞게 신용관리를 잘해나가는 것 밖에 다른 방안은 없는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등급 올리는 팁과 신용등급별 관리요령 알아보자 (0) | 2025.03.19 |
---|---|
신용카드 본인확인 서비스, 휴대폰 명의가 다를 때 인증하는 방법 (0) | 2025.03.12 |
경기도에서 채무자 대리인 지원을 해주는 제도가 있네요 (0) | 2025.02.26 |
잦은 신용카드의 연체로 하락한 신용점수 회복하는 방법 (0) | 2025.02.11 |
새로운 시작으로 신용관리하는 방법은 (0) | 2025.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