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무

상속세 제대로 알고 내세요

by 하키라 2023. 5. 17.

상속세라는 것은 피상속인이 남기신 재산을 상속인이 넘겨받으면서 상속인에게 생기는 이익을 상속세율로 계산해서 내는 세금을 말합니다. 그럼 어느 정도까지의 재산이면 상속세 면제가 가능한지, 상속재산목록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재산인 것들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상속세 절약

1. 상속세 내는 재산 수준?

 

상속세는 상속인의 구성원에 따라 세금을 낼 수도 있고 안 낼 수도 있는 것입니다. 즉 10억 원 정도의 재산을 물려받아도 상속세를 내는 분들도 계시지만 한 푼도 안 내시는 분들도 상속 구성원에 따라 있게 마련입니다.

 

상속재산가액을 계산하는 것은 상속재산에서 채무와 상속공제를 뺀 나머지를 가지고 계산을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채무와 상속공제를 뺐을 때 남는 금액이 없다면 상속세가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상속공제가 되는 상속인이 누구인지에 따라 공제 금액의 차이가 크게 나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와 자녀가 모두 있는 경우 최소 10억 원이 공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 때문에 약 10억 정도의 재산을 물려 받게 되면 상속세가 웬만하면 나오지 않기에 상속세가 없는 것으로 오해를 불러오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배우자나 자녀 어느 한쪽만 있는 경우에는 공제금액이 적어지므로 같은 10억 원 상당의 재산을 상속받더라도 상속세가 나올 수는 있는 것입니다.

 

※ 여기서 상속공제가 되는 금액 즉, 공제한도는 이것을 ☞ 누르셔서 상속세 알아보기 편을 찾아 보시면 됩니다.

 

이 밖에도 금융재산 공제(최대 2억 원), 기업(영농)상속공제 등 다양한 공제제도가 있으니 적극 찾아서 활용들을 하시면 상속세는 최대한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재산을 상속 받으면 세금은 무조건 있는데, 면제를 받을 수 있는 정도의 금액이 되느냐 아니냐에 따라 세금이 나오고 안 나오고 하는 차이만 있는 것입니다.

 

2. 재산 이외에 더 확인할 상속재산은?

 

부모님으로부터 주택만 물려 받아 내야 할 상속세는 없다고 생각을 하시다가 생각지도 못한 세금을 맞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합니다.

 

 - 주의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은  상속인이 돌아가시기 10년 이내에 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 또는 5년 이내에 상속인이 아닌 타인에게 증여한 재산이 있다면 이 재산들은 상속세 계산할 때에 합쳐서 계산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가 갑자기 뒷목을 잡게 되는 경우가 되니 상속인들은 10년 이내에 증여가 이뤄진 것이 있는지부터 확인을 하시는 게 좋은 방법입니다.

 

 - 또한, 피상속인의 퇴직금과 사망보험금 같은 부분도 확인들을 하셔야 합니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상속인이 받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요. 이때 그 돈을 회사나 보험사로부터 상속인이 직접 받기 때문에 상속재산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사망보험금과 퇴직금도 상속재산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 한가지 더 중요한 부분이 피상속인인 돌아가신 분이 사망 전 인출한 예금의 경우에는 그 사용처를 확인해야 합니다.

 

국세청에서는 금융정보 등을 조회해서 피상속인의 예금 인출 내역을 알 수 있는데요. 피상속인이 사망하기 1년 전까지의 인출금 중에 2억 원 또는 2년 이내에 5억 원 이상의 예금을 인출하였는데, 그 사용처가 불분명한 것은 그 금액을 상속재산에 포함시키게 되기에  사용처를 확보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상속세를 줄이기 위해 고의로 예금을 인출 하시는 경우도 많다고 하기 때문이랍니다.

 

현금의 사용처만 입증되면 이러한 금액들은 상속재산에 포함시키지는 않는 것입니다.

 

사용처가 불분명한 금액을 상속재산에 포함시키는 금액 계산의 예시

* 1년 전 10억원 예금인출, 이중에 5억원은 부동산 구입 사실 확인, 나머지 5억원은 사용처 불분명 하다면,

상속재산에 포함되는 금액은 => 사용처 불분명 액수 - min(인출금 × 20%, 2억원) 

5억원 - min(10억원 × 20%, 2억원) = 3억원 이 나오므로 3억원을 상속재산 가액으로 포함시키게 됩니다. 

이상으로 상속재산이 적으면 세금을 안낼 수도 있다는 것은 낭설에 불과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재산 상속 시에 확인하셔야 할 목록들을 살펴 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