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적금 형태로 보험에 가입하려는 분이 고려할 사항

by 하키라 2024. 11. 19.

적금 형태로 보험에 가입하려는 분이 고려할 사항

 

잘 아는 보험설계사가 있는 분들은 경험상 자주 찾아와서 신규 보험 가입을 권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해서 여러 개의 보장성보험에 가입을 하신 분들은 적게나마 적금 형태의 보험에 가입하려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때 적금 형태의 저축성 보험에 가입하는 분들이 고려할 사항에 대해 알려드려 볼게요.

 

 

1. 적금 형태의 저축성 보험 가입 시 고려할 사항

 

 - 주변에 아시는 보험설계사가 있는 분들은 보장성 보험을 가입해 주고도 다시 와서 새로 보험에 가입을 권하게 되면, 주로 적금 형태의 저축성 보험에 가입을 하시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기존에 납부하는 보험료도 보장성이라 만기에 제대로 찾을 수도 없다는 것을 알기에 이제는 저축성 보험에 가입을 하려는 심리라 생각해 볼 수 있는데요.

 

 - 그러나, 저축성 보험도 말 그대로 보험이 붙은 보험상품이라는 점을 인식하셔야 합니다. 해서 저축성 보험이라도 무조건 보험료가 다 적립된다고 생각하지를 말아야 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부분들을 고려해서 가입할 저축성 보험을 선택하시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 그럼, 저축성 보험에 가입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확인해 보죠.

 

① 해지공제가 없는 저축성 보험을 고려

 

 - 저축성 보험이라고 하는 상품은 은행에 있어서의 예금이나 적금과 달리 보험상품이기에 보험가입자가 가입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해지를 하게 된다면, 해지에 따르는 해지환급금이 매우 적거나 없을 가능성이 많게 됩니다.

 

 - 해지환급금이 적은 이유는 보험회사가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할 환급금에서 보험설계사에게 이미 지급한 모집수당과 같은 계약체결 비용 등을 공제하고 지급해야 하므로 환급금이 적거나 없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입니다.

 

  - 이러한, 부분을 조금이라도 없게 하려면, 저축성 보험을 온라인에서 가입하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온라인에서는 설계사의 수수료도 없을 뿐 아니라, 제반비용 등이 적게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그래서, 온라인에서 가입한 저축성 보험은 가입하고 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해지를 하더라도 납입한 보험료의 95~100% 수준을 돌려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 결국, 중간에 설계사라는 사람이 끼게 되면, 초기에 해지를 해서 납입 보험료를 찾을 때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② 비용, 수수료 등 공제금액 확인

 

 - 위의 ①번과 같이 공제금액이 얼마나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것이 고려할 사항이 되기도 하는데요. 이는 어쩔 수 없이 보험설계사와의 친분으로 가입해 줘야 할 사항이 되는 경우입니다.

 

 - 저축성 보험에 가입을 하실 때 기본적인 사항을 알고 계시면, 서로 기분 좋게 계약을 하실 수도 있기에, 저축성 보험의 보험료가 얼마나 비용과 각종 수수료로 쓰이는지 대충이라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어떠한 경우라도 보험사에 적립되는 보험료는 기본적으로 보장 부분은 꼭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장보험료와 설계사의 모집수수료, 그 외 회사에서 사용되는 각종 수수료가 제외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해서, 기본적으로 납입한 보험료 중의 85% ~ 95% 수준만이 적립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암만 저축성 보험이라도 은행에서의 예금이나 적금과 달리 10년 이내의 가입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은행보다는 낮은 환급률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알고 계시면 됩니다.

 

 - 결국은, 보험사에 가입한 저축성 보험도 10년 이상 길게 저축을 한다는 마음으로 보험료를 납입해야 되는 상품이라, 정말 장기적으로 유지하지 않으려면 애초에 가입을 안 하시는 것이 낫다고 볼 수 있네요.

 

 - 추가로 저축성 보험에 가입 시 발생하는 각종 비용이나 수수료 등에 대한 내용은 "공제금액 공시"에 자세하게 기재된다고 하니 상품설명서를 보실 때 꼭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추가 팁

 - 종신보험은 저축성 보험이 아니다.

 - 간혹 종신보험에 대해 착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해서 알려드려 보는데요. 위의 말과 같이 종신보험은 저축성 보험이 아니라 보장성 보험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 여기에 저축성 보험보다 비용이나 각종 수수료가 높아 목돈마련을 하기 위한 자금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 마치며

 

이상으로 적금 형태의 저축성 보험 가입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확인해 보았는데요. 막연히 저축성 보험이라고 해서 가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보험에 가입할 때 발생하는 비용들에 대한 기본 구조를 이해하고 있다면, 어느 정도는 가입할지 말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봅니다.

 

결과적으로 항상, 보험이라는 상품에 가입을 하려면, 보장성과 저축성을 먼저, 구분해서 자신에게 맞는 상품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