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펫(PET) 보험 가입 시 알고 있어야 할 체크포인트

by 하키라 2024. 10. 23.

펫보험 가입시 체크포인트

 

반려동물을 많이 키우는 요즘 시대에 펫(PET) 보험은 어느 정도는 필수 보험이 아닌가 생각해 보는데요. 반려동물이 아프게 되어 치료를 하게 되면 워낙에 많은 병원비에 놀랄 때가 많아 그럴 것입니다. 그러나, 무작정 보험에 가입하기보다는 가입 전 체크해야 할 사항은 숙지하는 것이 좋을 듯하네요.

 

 

1. 펫(PET) 보험 개요

 

 - 펫보험은 말 그대로 반려동물이 아플 때 치료를 위해 발생한 치료비를 손해보험회사에서 실손보상하여 주는 보험을 말하는 것입니다.

 

 - 즉,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개발된 보험상품인 것입니다. 이 보험에도 가입기준이 있는데, 반려동물이 태어난 지 2개월이 지난 후에 가입이 가능하고, 동물병원에 입원이나 통원치료 시 의료비를 보상받을 수 있게 됩니다.

 

 - 펫 보험의 실손보상 내용은 통계적으로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가입연령 생후 2개월 ~ 10세
보험만기 20세
보험료 연간 보험료 최대 60만원
갱신 주기 1년 / 3년 / 5년
자기 부담률 0% ~ 50%
한도 수술비 150만원 ~ 250만원
입원, 통원 치료비 10만원 ~ 30만원
연간 700만원 ~ 2,000만원
본인 부담금 1만원 ~ 5만원

※ 상기 보상내용은 보험사별로 조금씩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2. 알아야 할 체크 포인트

 

 - 보험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확인이 되었다면, 체크해 봐야 할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펫 보험은 갱신형 상품

 

 - 이 상품은 갱신형 상품으로 갱신기간이 1년, 3년, 5년 주기로 되어 있는 상품입니다. 해서 반려동물의 연령이 증가될 때 보험료가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을 체크해 놓으셔야 합니다.

 

 - 갱신형 상품에 대한 보험료 부담이 되시는 분들은 자기 부담률이 높은 보험상품에 가입을 하시거나,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 반려동물 등록 시 2 ~ 5%의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도 숙지하시면 될 듯하네요.

 

② 고지의무, 통지의무

 

 - 펫보험 역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과 같이 사전에 알려줘야 하는 고지의무와 가입 후 발생한 사실을 통지해 주는 통지의무를 있는 그대로 알려 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 즉, 가입 전, 후 반려동물의 양육목적, 질병, 복용의약품, 거주지 등에 대해 보험회사에 사실대로 알려야 하는 의무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어길 시에는 계약이 해지되거나 보장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③ 기본계약과 특약에 대한 보상차이

 

 -  기본계약에 가입을 하는 경우에는 펫보험에서 보장해 주는 범위가 입원비, 통원 치료비, 수술비와 같이 반려동물 자체에 대한 보상을 해주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그러나, 별도로 특약에 가입을 하게 되면, 기본계약에서 보장해 주는 것 이외에 타인의 신체, 타인의 반려동물 등에 끼친 배상책임도 보상을 받을 수 있고, 반려동물이 사망한 경우 장례비 또는 위로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점도 체크해 놓으시면 됩니다.

 

 - 펫 보험에 대한 보상한도는 각 보험사별로 확인들 하시면 될 듯합니다.

 

④ 보상이 안 되는 병원비

 

 - 마지막으로 보상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는데요. 먼저, 보험상품에 가입하기 전 즉, 보장을 개시하기 전에 이미 발생한 질병이나 상해로 인한 치료비는 보상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또한, 자격이 없는 수의사에게 받는 의료행위, 반려동물의 선천적, 유전적 질병에 의한 치료비도 보상을 해 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 추가로, 반려동물의 치과치료비, 예방접종비·정기검진, 미용 목적의 수술비, 임신·출산·불임·피임·중성화와  관련된 비용 등도 보상하는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하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반려동물을 지도하는 상담비용과 훈련료, 산책료 등도 보상이 안된다고 합니다.)

 

3. 마치며

 

이상으로 펫(PET) 보험 가입 시 알고 있어야 할 체크포인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본적으로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면서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불상사에 대비해서 펫보험에 가입하는 것은 보호자나 반려동물 모두에게 좋은 일인 것은 사실일 텐데요.

 

체크해서 확인한 사항들에 대해 모르고 보험가입을 하셨다가 낭패를 볼 수도 있으니 오늘 살펴본 체크 포인트에 대해서는 숙지들을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