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와 같은 위험천만한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해 정부나 지자체에서 많은 피해 예방을 위한 홍보를 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해서 이러한 상황에 맞닥뜨려 본 경험이 별로 없는 젊은 층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일 텐데요. 그래서 임대를 위한 주택을 고르는 단계를 다시 알려드려 봅니다.
1. 임대주택을 고르는 단계 알아보기
- 집은 우리가 밖에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고 저녁에 들어와서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이 되어주는 공간이라 볼 수 있을 텐데요. 집을 구할 때 각자가 자신의 형편에 맞는 유형의 주택을 고르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됩니다.
- 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단계가 집의 규모와 주변 인프라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해서 주택을 고르는 결정 단계의 가장 첫 번째는 주택의 규모 정도와 주면 인프라라 생각이 됩니다.
① 주택 규모와 주변 인프라
- 이것은 자기가 혼자 지낼 것인지 아니면 동거할 사람들의 숫자에 따라 주택의 규모를 가장 먼저 선택하애 할 것입니다.
- 이것이 정해지면 다음으로 거주할 곳의 주변 인프라를 체크해야 하는 것이 최우선 일 겁니다. 자신이 매일 움직여야 하는 통근에 소요되는 시간이 알맞은 지역인지와 일상생활을 할 때 불편함이 있는지 등을 판단해서 지역을 골라야 할 것입니다.
② 해당지역에서 임대 주택 확인
- 첫 단계가 정해지면 다음에는 그 지역에서 공공기관에서 제공해 주는 임대주택이 자신에게 맞는 것이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 이때에는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보증금 등의 금전적인 규모가 맞는 주택을 확인하고 선택을 해봐야 할 것입니다. 사전에 미리 온라인 등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사이트들이 마이홈이나, LH에서 제공하는 공공임대주택 사이트를 검색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 먼저 공공임대주택을 확인해 보고 마땅한 것이 없다면, 지역 부동산에서 마음에 드는 주택을 골라봐야 하는데, 이때 꼭 준비해야 할 것이 기록을 할 수 있는 메모 등을 가지고 다니거나 사진을 찍어 두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③ 주택을 체크하는 사항들
- 세부적으로 2단계까지 거쳐서 집을 구경할 때 체크해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고 할 것입니다.
- 내부구조, 엘리베이터 유무
- 채광, 환기 확인
- 에어컨과 보일러 확인
- 벽이나 바닥 등에서 누수나 결로 등을 확인
- 수도와 배수 등 확인
- 방음 확인
④ 주택시세 확인
- 집을 보고서 마음에 들었다면, 자신이 내야 하는 보증금이나 월세가 적정한지를 체크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 여기서 해당 주택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려드려 보면 다음과 같네요.
- 상기 사이트들을 활용해서 주택의 시세를 확인해 보고, 자신이 얻으려는 임대주택이 공공기관의 주택이 아니라면 보증금 등이 적정한지를 체크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⑤ 등기부등본 확인
- 모든 단계를 확인하였다면, 마지막으로 등기부등본을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 등기부등본으로는 부동산의 전체적인 사항인 주소와 면적, 임대인과 저당권자 등의 권리관계까지 확인을 할 수 있는 공적인 서류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갑구"에 주택의 주인이 누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다음으로 "을구"에 저당권이라든지 주인 이외에 이 집에 권리를 가지고 행사를 하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마치며
이상으로 전세나 월세 등으로 주택을 알아보기 위한 단계에 대해 간단히 확인해 보았는데요. 집을 구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큰돈을 들여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수백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일이라 생각이 되기에 대부분이 잘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꼭 다시 체크를 하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되어 글을 써 봅니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액 임대차보호법은 나의 보증금을 얼마나 보호해 줄까? (1) | 2025.04.23 |
---|---|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안전 체크를 해보세요 (0) | 2025.02.19 |
아파트 단지 내의 통행로는 모두 "도로" 에 해당? (0) | 2025.01.07 |
아파트 관리비에 대해 알고 대처해야 손해 안 봅니다 (1) | 2024.12.26 |
자경을 하지 않는 사람의 농지 소유가 어디까지 가능할까 (0) | 2024.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