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에서는 특화 공공임대주택 사업대상 20곳을 선정하였다고 보도하였는데요. 이는 지난 4월부터 2개월간 공모를 거쳐 최종 선정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유형별로 몇 곳이 선정되었는지와 유형별 주요 내용은 어떠한지에 대해 보도 내용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토부 보도자료 참조>
1. 선정지역과 지역별 주택유형
-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의 공모결과 선정된 지역과 지역별 주택 유형은 다음과 같답니다.
- 경기 광명 : 청년특화주택 112호
- 경기 서안양 : 청년특화주택 200호
- 경기 의정부 : 청년특화주택 262호
- 세종시 : 청년특화주택 202호
- 서울 대방동 : 청년특화주택 370호
- 강원 영월 :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30호
- 충남 공주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102호
- 전남 장흥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100호
- 경북 고령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26호
- 충북 괴산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100호
- 전북 고창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200호
- 경북 성주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100호
- 경북 포항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100호
- 광명 하안 2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250호
- 화성 어천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500호
- 청원 오창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300호
- 강원 평창 : 고령자복지주택 50호
- 충북 괴산 : 고령자복지주택 200호
- 고양 창릉[A-3 BL] : 고령자복지주택 250호
- 고양 창릉[A-5BL] : 고령자복지주택 250호
2. 유형별 주요 내용
- 선정된 지역의 주택 유형에 따른 주요 내용은 어떤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① 청년특화주택
- 도심 내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역세권 등 우수입지에 청년에 특화된 주거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임대주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이중 대방동의 청년특화주택은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생활권으로 여의도, 영등포 도심사이에 입지 하여 사회초년생 등 청년들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29년 말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또한, 올해 9월 준공 목표인 세종시 공동캠퍼스에는 서울대, 충남대, 충북대 등 6개 대학교와 1개의 대학원이 순차 입주하도록 해서 2,500여 명의 청년이 새로 유입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 세종시 공동캠퍼스 청년특화주택은 캠퍼스 기숙사에서 수용이 곤란한 약 2,000여 명의 청년이 거주하기 좋은 여건을 확충하기 위해 공급하는 것으로 '28년 하반기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②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 이 지원주택은 청년, 창업가, 중소기업 근로자 등 일자리 계층을 입주대상으로 하고 업무공간, 커뮤니티 시설 등을 제공하는 일자리 맞춤형 임대주택을 말하는 것입니다.
- 이 번에 지정된 지역은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의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부족한 주거 여건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도 제안하였답니다.
-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사업의 선정을 통해 그간 주택 수요가 적어 신축 주택을 공급하기 어려웠던 인구감소지역에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여 근로자의 직주근접과 주거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네요.
③ 고령자복지주택
- 이 주택은 무장애설계가 적용된 임대주택과 사회복지시설을 함께 설치하여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에게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주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마치며
이상으로 '24년도 특화 공공임대주택 사업대상 20곳 선정 보도한 국토부 자료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특화 임대주택은 청년이나 근로자, 고령자 등 특정 수요자를 대상으로 공급하여 지자체가 지역 여건에 맞는 특화 주택을 적재적소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외 일반 공공임대 주택과 마찬가지로 주택도시기금 등을 통해 국가가 건설비를 지원하고 있으므로 지자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해서 지속적으로 지역별로 특화된 공공임대주택을 공모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매매의 계약 해제 발생 요건과 그 효과는 (0) | 2024.08.20 |
---|---|
경기도 생활숙박시설 용도변경 사전검토제도 시행 (0) | 2024.08.17 |
토지투자에 있어 외국인 투자지역지정과 정부지원 (0) | 2024.08.15 |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주요 법과 적용 범위에 관해 (0) | 2024.08.14 |
리모델링의 개념과 그 범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