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06 양도소득세 파헤쳐보기 - Ⅰ 집이나, 토지 등 부동산을 매매하고 난 후에 나오는 세금에 대해 많은 관심들이 있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부동산의 양도에 따른 취득, 양도 시기와 양도소득세 계산절차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우선, 양도란 자산에 대한 등기 또는 등록에 관계없이 소득세법상 열거된 자산을 매도, 교환, 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등으로 인하여 그 자산이 유상으로 사실상 이전되는 것을 말해요. 1) 취득시기와 양도시기 자산의 거래는 계약 체결부터 중도금· 잔금을 청산하고 소유권 이전등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어느 시점을 정하여 양도 또는 취득시기로 보느냐 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데요. 이는 양도소득의 귀속 연도, 양도차익, 장기보유특별공제, 세율 적용 등 과세표준 계산 시 중요.. 2022. 11. 22. 증여세 · 자금출처 조사정리 오늘은 증여세 계산과 자금 출처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1) 증여세 우선 증여세 계산식을 보겠습니다. 증여세는 증여재산가액 (증여재산 - 증여세 비과세 및 불산입 재산 - 채무부담액) (+) 10년 내 재차 증여가산액 (-) 증여재산 공제 (=) 증여세 과세표준 (×) 증여세율 (=) 증여세 산출세액 # 증여재산 공제액은 다음과 같이 금액을 공제 받습니다. ⓐ 배우자의 증여 : 6억원 ⓑ 직계존비속의 증여 : 5천만원 (증여받은 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 2천만원) ⓒ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이 아닌 친족의 증여 : 1천만원 ## 세율 과세표준 세 율 누진공제액 1억 이하 1억 초과 ~ 5억 이하 5억 초과 ~ 10억 이하 10억 초과 ~ 30억 이하 30억 초과 10 % 20 % 30.. 2022. 11. 22. 부동산 취득세 알아보기 오늘은 부동산 취득세 과세근거 먼저 알아보는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부동산 취득세는 원칙적으로 취득 당시의 취득자가 신고한 가액으로 합니다. 다만, 연부취득 시에는 연부금 또는 사실상의 지급액으로 한다는 사실. 예외적으로 다음의 경우 시가 표준액을 적용합니다. ① 신고 또는 신고가 액의 표시가 없는 경우 ② 그 신고가 액이 시가 표준액에 미달하는 경우 연부취득 : 통상적으로 대금을 2년이상에 걸쳐 지급하는 경우를 말함 연부금 지급일을 취득일로 보므로 매번의 연부지급일을 독립적인 취득으로 간주하여 납세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증여, 기부 기타 무상취득 제외)에는 위 규정에도 사실상의 취득가액 또는 연부 금액을 과세표준으로 한다. ⓐ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으로부터의 .. 2022. 11. 21. 2022년 김포한강2 신도시 콤팩트시티 개발 알아보기 ★(위치)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운양동, 마산동, 양촌읍 일원 ★(면적/호수) 731만㎡ / 4만 6천호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이번 2022년 11월11일에 발표된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개발 발표는 기존 신도시가 지리적으로 분절된 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광역교통, 자족시설 등을 도입하여 수도권 서부지역의 스마트 자족도시로 발전시키려는 계획이 있는 아주 저희 김포시민에게는 만족 할 만한 구상이지요. ^^ 현재 국토부에서 구상하는 계획은요. 역세권 콤팩트시티 개념을 적용하여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기능을 압축하여 개발하고, 주변 부지에서도 역접근이 쉽도록 교통 네트워크를 연계 · 구축하려는 겁니다. ◈철도역을 중심으로 ➊광역교통과의 .. 2022. 11. 21. 이전 1 ··· 115 116 117 118 다음